분류 전체보기16 [자료구조] 스택(Stack) 선형 리스트란? [자료구조] 선형 리스트 (Linear List) ● 선형 리스트 (Linear List) - 데이터를 논리적인 순서대로 메모리에 연속하여 저장하는 구현하는 방식 - 데이터의 논리적인 순서와 기억 장소에 저장되는 물리적 순서가 일치하는 구조다. - 배열 toward-the-future.tistory.com 연결 리스트란? [자료구조] 연결 리스트 (Linked List) ● 연결 리스트 (Linked List) - 각 데이터에 저장되어 있는 다음 데이터의 주소에 의해 연결되는 방식 - 데이터의 물리적인 순서와 상관없이 포인터를 사용하여 논리적인 순서대로 연결하는 구조다 toward-the-future.tistory.com ● 스택 - 데이터를 임시 저장할 때 사용한다. - 데이터의 삽입&.. 2021. 6. 29. [자료구조] 연결 리스트 (Linked List) ● 연결 리스트 (Linked List) - 각 데이터에 저장되어 있는 다음 데이터의 주소에 의해 연결되는 방식 - 데이터의 물리적인 순서와 상관없이 포인터를 사용하여 논리적인 순서대로 연결하는 구조다. - 데이터의 논리적인 순서와 물리적인 순서가 일치하지 않아도 된다. ● 장점 - 물리적인 순서를 맞추기 위한 오버헤드가 발생하지 않는다. - 크기 변경이 유연하고, 더 효율적으로 메모리를 사용할 수 있다. - 삽입 & 삭제가 용이하다. ● 단점 - 임의의 데이터에 접근할 때 시간이 오래 걸린다. 앞 노드의 오른쪽 링크 필드에 삭제할 노드의 오른쪽 링크 필드값을 저장한다. -> 다음 노드의 왼쪽 링크 필드에 삭제할 노드의 왼쪽 링크 필드값을 저장한다. 2021. 6. 28. [자료구조] 선형 리스트 (Linear List) ● 선형 리스트 (Linear List) - 데이터를 논리적인 순서대로 메모리에 연속하여 저장하는 구현하는 방식 - 데이터의 논리적인 순서와 기억 장소에 저장되는 물리적 순서가 일치하는 구조다. - 배열을 이용해 구현한다. ● 장점 - 인덱스(Index)로 접근할 수 있기 때문에 접근 속도가 매우 빠르다. - 연속된 메모리 공간에 존재하기 때문에 관리하기가 편하다. ● 단점 ○ 배열을 이용해 구현하기 때문에 배열이 갖고 있는 메모리 사용의 비효율성 문제를 그대로 가지고 있다. - 배열의 크기 >> 데이터 수 : 메모리 공간의 낭비를 가져온다. - 배열의 크기 (N - 1) - K + 1 ● 삭제 연산 - 원소를 삭제하려면, 삭제한 이후에 빈자리를 채워주기 위해 , 삭제한 위치 이후의 원소들을 모두 한 자.. 2021. 6. 28. [자료구조] 자료구조(Data Structure)란? ● 자료구조의 정의 자료구조(Data Structure)란 자료(Data)의 집합을 의미하며, 각 원소들 사이의 관계가 논리적으로 정의된 일정한 규칙에 의하여 나열되며 자료에 대한 처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자료를 조직적, 체계적으로 구분하여 표현한 것을 말한다. ● 자료구조의 목적 -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저장, 관리하여 메모리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사용한다. - 적절한 자료구조의 사용은 실행시간을 단축시켜주고, 메모리의 용량을 절약해준다. ● 자료구조의 선택 기준 - 데이터의 처리시간 - 데이터의 크기 - 데이터의 활용 빈도 - 데이터의 갱신 정도 - 프로그램의 용이성 ● 자료구조의 특징 ○ 효율성 자료구조를 사용하는 목적은 효율적인 데이터의 사용 및 관리이다. 적절한 자료구조를 선택하여.. 2021. 6. 28. 이전 1 2 3 4 다음